본문 바로가기

뭔가 한 것들/자격증6

전산회계2급_합격 전산회계 2급에 합격을 해버렸다. 너무 귀찮아서 합격에 대한 기록을 3개월만에 한다. 전산회계 2급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서 재학, 재직 중에도 쉽게 취득할 수 있는 것 같다. 직장을 다니는 관계로 (물론 핑계이긴 하지만) 공부도 하루에 1시간 내외로 했었다. 공부는 주로 유튜브에 있는 박쌤 회계 강의를 들었는데 그마저도 1.5배속으로 휘리릭 들어버렸다. 마지막에 기출문제를 10회차 정도 풀어봤는데 사실 기출문제도 연습용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다 입력하는 것이 너무 귀찮아서 이론 부분만 풀고 넘어갔다. 뭐 어찌됐든 취득을 했다. 그만큼 어렵지 않고 스윽 훑어보면 취득할 수 있는 난이도이다. 1급은 범위가 조금 넓어져 어렵다고는 하는데 그래도 2급에서 배웠던 내용이 심화되는 느낌이라 1급도 바로 준비를 하고.. 2023. 11. 27.
전산회계2급_5(이연) 책을 다 보지도 않고 기출문제를 푸는데 "이연"이라는 생전 처음 듣는 단어가 나와서 놀란 마음에 해당 파트를 공부했다. "이연계정"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원래 비용이나 수익이지만 손익 계산상 필요하여 일시적으로 자산이나 부채로 처리하는 계정 대충 당기(장부를 입력하는 지금)에 처리하지 않고 차기(다음 연도)에 처리하겠다로 이해했다. 근데 중요한 점은 "이연"은 실제로 주고받았을 경우에 사용하는 계정으로 '미지급'이나 '미수'는 해당하지 않는다. 이연은 수익과 비용에서 발생하는데 수익을 먼저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수익의 이연 예를 들어 2023년 7월 1일: 1년 치(2023.07.01 ~ 2024.06.30) 임대료인 1,200,000원을 현금으로 받아버렸다. 2023년 12월 31일 결산 시 선수(먼.. 2023. 7. 28.
전산회계2급_4(현금과부족) 현금과부족이라고 처음에 '현금과 부족'인 줄 알고 맞춤법 극혐이라고 생각했는데 현금(의)과부족이다. 최신 30회 중 6문제나 출제 이력이 있다는데 약간 헷갈려서 다시 정리를 해봐야겠다.현금과부족 실제 잔액과 장부상 잔액이 일치하지 않을 때 결산 전까지 사용하는 임시계정 1. 실제 잔액 < 장부 잔액(실제 잔액이 장부 잔액보다 적은 경우) 가령, 실제 잔액은 50,000원인데 장부 잔액이 70,000원인 경우 분개의 시작은 [1] 차) 현금과부족 20,000원 대) 현금 20,000원 ※ 20,000원은 장부 잔액과 실제 잔액의 차이 ※ [2] 20,000원 중에서 10,000원은 도시가스비 누락! 차) 수도광열비 10,000원 대) 현금과부족 10,000 [3] 결산 전이지만 10,000원은 당최 모르겠.. 2023. 7. 26.
전산회계2급_3(나머지 계정과목) 자산 계열 계정 과목 외 나머지 계정 과목인데 은근히 양이 많다. 근데 이것들도 굳이 모두 외울 필요는 없지만 혹시 모르니 찾기 쉽게 정리해야지. 유동부채 외상매입금: 일반적인 상거래에서 외상으로 구입한 경우 지급할 채무 지급어음: 일반적인 상거래에서 외상으로 구입하고 지급한 어음 미지급금: 일반적인 상거래 이외에서발생한 채무 예수금: 급여 지급 시 원천징수하여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금액(소득세, 건강보험료 등) 가수금: 실제 현금의 입금은 있지만 계정과목이나 내역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의 임시 계정 선수금: 상품, 원재료 등을 판매하기로 계약하고 미리 받은 금액 단기차입금: 상환기간이 1년 이내인 차입금 미지급비용: 당기 미지급 중 기말에 계상되는 비용 선수수익: 차기에 해당하는 수익(미경과분)을 당기에 .. 2023. 7. 16.